레이블이 Retwee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Retwee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1월 22일 월요일

Using Twitter To Connect with Audiences: Personality Matters

Hi, everyone. I was unable to post articles for a week because of my college visit to NYU Abu Dhabi. You never know how amazing that place is until you personally go there. I spent my weekend with the most talented and amiable people on Earth. I was really lucky to be in that group. Now it is time for us resume our conversation on social media. Let us start now.

---------------------------------------------------------------------------------------------

Now back to Twitter. Today's posting is not that directly related to Twitter marketing. However, I wanted to show you how important it is to have your own "personality" on Twitter to strike up conversations with other people. And that "personality" charm, as I will point out later, can be a genuine solution for those who are struggling with how to market their brands with Twitter.

Completing your bio on Twitter is absolutely important. When one takes a look at your bio, one has a glimpse of who you are. Keep it very simple and concise. Tell people about who you are by listing up the words that best characterize you. My bio says "High School Student Who Has A Deep Passion for Passion and Social Media." It is short, indeed. Yet, people will know that I am a high school student and that I have interests in fashion and social media. That is enough. Bio must not tell everything about you. People will get to know you once they follow you.

Now I will take Domino Pizza as an example. Domino Pizza was struggling at that time because of a video in which two part-timers spat on a pizza dough. People started attacking Domino Pizza for its low sanitation control. To be literal, people were shocked and evey boycotted whatever was made by Domino Pizza. To deal with this crisis, Domino Pizza came up with the idea of launching a Twitter. HOWEVER... things went awry...

Search results for Dominos were nearly catastrophic. People were obviously ignoring Domino Pizza or were not informed of the fact that it started tweeting.

It was quite apparent that things went differently from what Domino Pizza had expected. Since it barely had followers to support it and propagate its messages, it ended up failing to sort out the reputation issue that agonized it for a long time.

 

We have to take this example seriously. In terms of a crisis management, it was literally a disaster. BUT we need to see thing in another perspective, too. Why did Dominos fail miserably in the first place? You got it right. They had no followers at its side. From its inception, Domino Pizza's Twitter was created not to establish relationships, but to tackl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m. There was no personality in it. People were not enchanted by this fact.

We always talk in the first person. It is all about "I" after all. You have to have charms that naturally attract people. Twitter, as we repeatedly witnessed, is an extended conversation. We are just doing our conversations online, not offline. What type of person do you love to chat with? People with their own colors. That is so true. So do not forget to have "you" in your Twitter if you want to be a twitter star.

2010년 10월 9일 토요일

NGO's Rush to Twitter and Facebook

I feel absolutely refreshed after 12 hours of sleep! I bet you are having nice weekend with your friends, families, and perhaps lovers. Wish everyone a good luck:)

---------------------------------------------------------------------------------------------

   Recently, a number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joined social network services (especially, Facebook and Twitter) as a means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the issues with which they are tackling and to spread their messages all around the world. Then, why are social network services appealing greatly to NGOs?

 

   People, when on social network services, collectively tend to behave benevolently. Because their profiles can be accessed freely by other people, including strangers, people want to be recognized as friendly, generous individuals. Thus, when NGOs post messages on social network services, people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such moves by clicking on “Like” on Facebook and “Retweet” on Twitter. It does not take a lot of time to click on icons, but that is enough to show other people that “I am keenly aware of my social responsibilities and I care about people around me.”

 

- Message Donation
   This is the most common type. Here is an example. The United Nations initiated a campaign titled “End Malaria.” In order to turn the campaign into a triumphant success, the UN selected 50 entities, both individuals and foundations, whose influences are powerful enough to propagate the UN’s social messages all across the globe. Those selected entities sent tweets regularly regarding the “End Malaria” campaign and those tweets were reached to about 170 million people. As intended, the UN succeeded in signaling its message that “we should not let children from poor countries die of malaria.”

 

- Channel Donation
   This type of donation is gaining huge popularity among bloggers these days. NGOs design applications in which people can learn about their on-going campaigns and actually donate money thorough online payment. Individual bloggers, after customizing applications to suit their blogs’ designs, put them on display so that visitors can participate in their causes. For example, Facebook Causes, a charity site on Facebook, suggests people to donate money on their birthdays to raise funds.

2010년 6월 28일 월요일

Six Ways to Find Value in Twitter's Noise Part1

I translated, modified, and reinterpreted the original article of Harvard Business Review.

If you want to see the original text, click

http://hbr.org/2010/06/vision-statement-six-ways-to-find-value-in-twitters-noise/ar/1

----------------------------------------------------------------------------------------------

Its easy to dismiss Twitter as jabber, but smart marketers will recognize it as a stream of free consumer data to be mined in near-real time.

사람들이 Twitter가 "지껄"인다고 그 가치를 묵살하기 쉽지만 똑똑한 마케터들은 Twitter를 거의 실시간으로 캐내는 소비자 자료의 흐름으로 여깁니다.

 

Online visualization tools can help pinpoint what consumers are reading and sharing, elucidate memes in the chatter, and unearth trends.

온라인 시각화 도구들은 통해 마케터들은 소비자들이 무엇을 읽고 공유하는 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들의 대화에서 문화적 요소를 분명히 하며, 더 나아가 트렌드를 발굴해냅니다.

 

To show marketers how they can gain insight from Twitter, we captured more than a half million tweets containing the word “iPad” that were broadcast during the product’s launch weekend in April.

Twitter로부터 마케터들이 어떤 안목을 얻을 수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Harvard Business Review는 제품이 출시된 주에 iPad라는 말을 포함한 50만개 이상의 tweet을 캡쳐했습니다.

 

We then mapped key words that appeared in those tweets on the graph below.

그리고 우리는 그 tweet 속에서 나타난 키워드를 지도화 해보았습니다.

1. Learn about the competitive landscape.

Tweets about your product that include the names of rival brands can reveal a lot about marketing positioning.

라이벌 브랜드들의 이름을 포함한 당신 회사 상품 관련 tweet들은 당신이 어떻게 소비자들에게 포지셔닝을 할지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줍니다.

 

Most of the Kindle tweets didn't focus on the iPad's being a Kindle killer (or, for that matter, a laptop killer).

Kindle에 관한 대부분의 tweet들이 iPad가 Kindle 킬러가 되는 것에 주목하지 않았습니다.

 

Instead, they hailed the arrival of Kindle app for the iPad - alerting Apple that its own books app will face serious competition.

대신에, 그들은 iPad를 위한 Kindle 앱의 출시를 환영했습니다 - Apple에게 자신들의 books app이 심각한 경쟁상대를 맞이할 것이란 것을 일깨우게 해줬습니다.

 

2. Look for unexpected themes.

Persistent words point to persistent ideas.

끊임없이 지속되는 단어들은 끊임없이 지속되는 아이디어로 발전합니다.

 

The word CASE becitame far more common right after people started buying iPads.

사람들이 iPad를 사기 시작하자마자 CASE라는 단어가 훨씬 더 흔해졌습니다.

 

The sources?

소스가 어디냐구요?

 

Offers and ads for free cases, and customers trading tips about protecting their expensive new gadgets.

공짜 케이스에 관한 제의들이나 광고들, 그들의 비싼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소비자 영업 팁들입니다.

 

3. Dip deeper into the stream.

While stream graphs give an overall impression of what people are tweeting about, it's important to know what other words are being used in relation to those in the stream.

이 스트림 그래프가 사람들이 무엇에 대한 tweet하고 있는 지에 관한 전체적인 그림을 주는 반면 그 tweet과 관련해 스트림 속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단어들에 대해 아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A thin ribbon of tweets containing the world EVIL not came not from Apple haters but from gamers tweeting about the arrival of Resident Evil 4 for the iPad.

EVIL이라는 단어를 포함 tweet 스트림은 Apple은 안티들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 iPad용 레지던트이블4 출시를 기다리는 게이머들의 tweet으로부터 온 것입니다.

 

In our chart, it might look as though a lot of tweeters were calling iPad AMAZING, but in fact, most of this traffic came from users retweeting a joke from comedian Conan O'Brien.

이 차트를 보면 마치 많은 twitter 사용자들이 iPad을 AMAZING이라고 부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트래빅은 Conan O'Brien의 말장난을 retweet하는데서 왔습니다.

 

There are 3 more to go. Yet, we need to take some rest since the topic is somewhat complicated. See you tomorrow!! Cool your heads off!

2010년 5월 5일 수요일

4 Steps of Social Media Marketing

 

Step1: 고객과의 소통의 도구

   많은 기업들이 현재 소셜미디어를 고객들과의 소통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바로 소셜미디어가 기존의 다른 미디어들과는 차별화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실시간(real-time)이라는 속성이죠. Twitter나 Facebook의 경우만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Twitter에 트위터유저가 글을 tweet하면 많은 사람들이 retweet을 합니다. 정말 빠른 시간 내에 반응을 알 수 있죠. 이러한 즉각성은 i-phone과 같은 스마트폰이 발전해감에 따라 더욱 더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기업은 따라서 고객들의 반응을 재빠르게 알아낼 수 있고 또한 고객들의 소리에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 답을 해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뒤늦게 이러한 소셜미디어의 흐름에 타기 시작하고 있는데요. 아직 처음이라 외국의 소셜미디어에 비해 폐쇄적인 면이 강해 질타를 받고 있기도 합니다. 어쨌든 소셜미디어가 전세계적으로 고객과 기업의 소통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을 것 같네요.

 

Step2: 고객 대상 촉진 활동의 도구

   소셜미디어가 기업에게 엄청난 각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단순히 고객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기 위해서일까요? 소셜미디어가 바로 기업의 프로모션활동, 즉 마케팅 활동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소셜미디어가 엄청난 파급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죠. Twitter의 예를 들어 봅시다. Retweet이란 기능은 트위트유저가 자신들의 follower들에게 메세지를 한번에 쏘아 보내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트위트유저가 한 메세지를10명에게 보냈다고 합니다. 그 10명이 또 10명에게 retweet하고 또 그 10명이 10명에게 retweet한다면 순식간에 1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메세지를 받게 됩니다. 이렇게 기하급수적인 파급효과를 지닌 소셜미디어를 기업이 그냥 지나칠 수 없겠죠. 우리나라에서도 Daum의 YOZM과 NAVER의 미투데이가 한국형 소셜미디어로의 입지를 조금씩 굳히게 되면서 기업들이 점점 더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Step3: 고객의 구매에 영향을 주는 도구

   최근 Twitter에서 기업들에게 Promoted Tweets라는 새로운 기업 수익모델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Promoted Tweets랑 Twitter가 Google Ad Sense에 필적할 만큼 야심을 기울여 만들어낸 수익모델이다. 사람들이 Twitter나 Facebook을 이용하는 이유는 당연히 기업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아니다. 바로 친구들과 실시간으로 대화를 하면서 인맥을 쌓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이러한 고객들의 대화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것이 중요하다. Promoted Tweets의 메커니즘을 알아보자. 트위터유저가 친구랑 Starbucks에 대해 대화하다가 Starbucks를 검색했다고 해보자. 그러면 현재 Starbucks가 실행하고 있는 모든 프로모션 활동이 실시간으로 웹에 뜨게 된다. 이렇게 소셜미디어는 고객에게 자연스럽게 프로모션을 하면서 고객의 실질적 상품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

 

Step4: 고객과 기업 간의 애착을 형성하는 도구

   소셜미디어마케팅은 왜 이렇게 고객들로 부터 엄청난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일까? 단순히 새로운 마케팅 분야라서? 단순히 고객들의 의견이 기업에 반영되서? 이러한 단순한 이유만은 아닐 것이다.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소셜미디어는 인간의 애착욕구(attachment desire)을 이용하고 있다. 사람들을 항상 누군과와 연결되고 싶어한다. "Always in touch"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에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Twitter의 처음 페이지는 "What are you doing" 미투데이의 처음 페이지는 "지금 무슨 생각해?" 이러한 문구들이 바로 소셜미디어의 가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기업들은 이러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줌으로써 서로간의 애착을 쌍하야 한다. 애착의 형성은 기업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바로 고객이 꾸준히 자사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