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소셜커머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소셜커머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0월 15일 금요일

Social Commerce: Facebook wins over Google

드디어 주말이 왔네요. 저는 고3이라 주말에도 마음 놓고 쉴 수는 없지만... 그래도 늦잠 잘 수 있어서 얼마나 행복한지!!! 여러분도 좋은 주말 보내시고 그럼 오늘의 포스팅을 시작할께요.

Reference: http://blogs.forbes.com/oliverchiang/2010/10/14/in-facebook-vs-google-facebook-wins-a-skirmish-in-social-commerce

---------------------------------------------------------------------------------------------

오늘의 주인공들은 페이스북과 구글입니다. 소셜커머스 대결에서 이긴 쪽은 누구일까요? Forbes가 정한 승리자를 만나보도록 합시다!

 

In Facebook Vs. Google, Facebook Wins A Skirmish in Social Commerce

By Oliver Chiang

 

Image representing Eventbrite as depicted in C... 

Facebook and Google have been engaged in a war for some time now over online engagement, user traffic and even employees, as the ever-growing social network expands into Google territory and vice versa.

페이스북과 구글은 계속 성장하는 소셜 네트워크가 구글 영역으로 확장하면서 [반대로 구글 영역이 소셜 네트워크로 확장하면서] 온라인 참여도, 사용자 트래픽, 심지어 직원들을 놓고 지금까지 전쟁을 벌여왔습니다.

 

Now Facebook can add a small, but significant win: driving more traffic to online events registration site Eventbrite, and driving ticket sales.

이제 페이스북은 작지만 중요한 승리를 하나 추가하게 되었습니다: 온라인 이벤트 등록 사이트인 Eventbrite에 더 많은 트래픽과 티켓 판매를 이끌어 냈습니다.

 

Eventbrite, which allows people to set up pages to promote their events and sell tickets, just released a report titled Social Commerce that takes a look over the past 12 weeks at how social networks are driving traffic or ticket sales to the site.

사람들이 이벤트 홍보를 위한 페이지를 개설하게 해주고 티켓을 판매하는 사이트인 Eventbrite는 Social Commerce라는 리포트를 최근 발매했습니다. 이 리포트는 지난 12주간 어떻게 소셜 네트워크가 Eventbrite의 트래픽과 티켓 판매를 이끌어냈는지를 보여줍니다.

 

One finding: Facebook is the no. 1 referring site to Eventbrite.com, surpassing Google.

한 결과는 페이스북이 구글을 앞지르고 Eventbrite.com의 1위 연관 사이트라는 것입니다.

 

One Facebook share of an event drives 11 visits back to the site, according to the report.

이 리포트에 따르면 페이스북에서 이벤트를 한 번 공유하면 11개의 사이트 접속이 발생된다고 합니다.

 

Just last April when I profiled the company, Eventbrite’s top referrer was Google, with Facebook in second.

제가 Eventbrite를 작년 4월에 프로파일링했을 때만 해도 구글이 1위 페이스북이 2위 였습니다.

 

Those positions quickly changed.

하지만 순위는 금방 바뀌었습니다.

 

“The hyper-relevancy of the social graph breeds deeper engagement, greater sales and stickier audiences,” the report says.

리포트는 "소셜 그래프의 엄청난 관계 연관성이 더 깊은 참여도, 더 큰 판매량, 더 충성심 깊은 고객을 만들어낸다"고 밝힙니다.

 

It makes sense that more people would be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an event from a share from their friend on Facebook rather than from a Google search.

많은 사람들이 구글 검색을 통해서보다 페이스북 이벤트 공유를 통해 특정 이벤트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다는 말은 이해가 갑니다.

 

You see an event your friend is attending, maybe you want to go as well.

당신이 친구가 참석하게 될 이벤트에 대해 알게된다면 당신도 아마 따라가고 싶을 것입니다.

 

Eventbrite says sharing rates are consistent across its events of all sizes, from a 10-person workshop to a 10,000-person conference.

Eventbrite는 10명이 참석하는 워크샵이든지 10000명이 참석하는 컨퍼런스이든지 규모에 관계 없이 공유 비율은 일정하다고 말했습니다.

 

Facebook is also a major driver of ticket sales, according to the report, which looked at each of the social networks it was on (Facebook, Twitter and LinkedIn) and its own “email friends” sharing application.

이 리포트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또한 티켓 판매의 주요 견인차입니다. Eventbrite와 연동된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드인과 각각의 이메일 친구 공유 앱을 살펴보고 내린 결론입니다.

 

One share on Facebook represents $2.52 in sales transactions.

페이스북 상의 한 이벤트 공유는 $2.52 가치의 판매 거래를 나타냅니다.

 

A share through “email friends” equals $2.34; on LinkedIn, $0.90; and on Twitter, $0.43.

이메일 친구를 통한 공유 가치는 페이스북의 경우 $2.34, 링크드인의 경우 $0.90, 트위터의 경우 $.043으로 나타났습니다.

 

In aggregate across these social sharing mechanisms, each share equals $1.78.

전체적으로 이러한 소셜 공유 매커니즘을 보면 각각의 공유는 $1.78의 가치를 지닙니다.

 

That’s during the 12-week study period.

이는 12주 연구 기간동안의 결과입니다.

 

Eventbrite says the number continues to improve.

Eventbrite는 수치가 점점 향상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The most recent 4-week average of the study period was $1.87.

12주 조사 기간 중 마지막 4주 동안은 $1.87이라는 수치를 냈습니다.

 

“Social sharing magnifies word of mouth, and that act of sharing actually results in a real transaction at the end of the day,” says Tamara Mendelsohn, Eventbrite’s director of marketing.

"소셜 공유는 입소문을 증폭시킵니다. 그리고 입소문은 실제로 결국에 진짜 거래로 나타나죠." Eventbrite마케팅디렉터인 Tamara Mendelsohn이 말합니다.

 

The report comes on the heels of Eventbrite’s raising $20 million in fourth-round funding earlier this month, bringing total funding of the startup to $29.5 million.

이 리포트는 Eventbrite가 이번 달 초 4번째 펀딩에서 $20백만를 모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초기 기금까지 합하면 $29.5백만이나 됩니다.

 

At the time, the company said it had brokered the sale of 7.5 million tickets this year and expected to sell more than $200 million worth of tickets by the end of 2010.

동시에 Eventbrite는 올해 75,000,000 티켓 판매를 브로커했고 2010년 말까지는 $200백만 상당의 티켓 판매를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That’s double the amount it sold last year.

작년 판매 총가치의 2배입니다.

 

News site paidContent.org estimates the company is making well above $7.5 million in revenue a year now.

뉴스사이트인 paidContent.org는 Eventbrite가 올해 $7.5백만 이상의 수입을 내고 있다고 추산했습니다.

 

While Eventbrite isn’t a big player yet, it is a fast-growing company in online ticket sales.

Eventbrite가 아직 소셜커머스 시장에서 큰 플레이어는 아니지만 온라인 티켓 판매 분야에서 빠른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Its report is significant for event organizers and others in the industry, by giving actual hard figures to the transactional value of a share on social network.

Eventbrite의 리포트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공유의 거래적 가치를 정확히 수치화 해주고 있어 이벤트 주최자들과 산업 관계자들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Eventbrite co-founder Julia Hartz thinks the report’s findings apply to all of e-commerce, whether it’s discovering the value of a share on another good like a book.

Eventbrite의 공동설립자인 Julia Hartz는 리포트의 결과가 모든 e-커머스에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책과 같이 다른 상품들의 공유 가치를 발견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The company has already begun to act on the findings of its report.

Eventbrite는 이미 리포트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을 개시했습니다.

 

At the end of last month, it launched a new filter on the site’s events recommendation engine called Facebook Recommendations, which allows users to discover which friends are attending events.

지난 달 말 Eventbrite는 자사의 이벤트 추천 엔진인 Facebook Recommendations에 새로운 필터 서비스를 제공해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친구들이 어떤 이벤트들을 참석하는지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10년 10월 14일 목요일

F-Commerce: Levi's와 P&G의 성공스토리

2010 세계지식포럼이 드디어 끝났네요. 3일 동안 너무 많은 것들을 배워서 그런지 몰라도 기분이 매우 좋습니다. 이제 다시 블로그 포스팅을 열심히 해야겠죠?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ference: http://socialcommercetoday.com/the-future-of-f-commerce-levis-pg-bejeweled-lead-the-way/

---------------------------------------------------------------------------------------------

소셜미디어 세상에서 요즘 화제의 키워드는 바로 소셜 커머스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미국에서 GROUPON이 엄청난 성공을 거두더니 우리나라에서도 티켓몬스터가 호황을 누리고 있죠. 이러한 성공스토리를 보고 감명을 받은 사람들이 소셜 커머스 시장에 뛰어 들어 우후죽순으로 소셜 커머스 회사가 생겨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소셜미디어마케팅과 마찬가지로 소셜 커머스 세상도 호락호락한 곳은 아닙니다. 오늘은 Levi's와 P&G 이 두 회사의 F-Commerce 성공스토리를 엿볼텐데요. 설명을 덧붙이자면 F-Commerce는 소셜 커머스의 일종으로 페이스북을 활용한 소셜 커머스를 말합니다. Facebook이 올해 많은 개편을 하면서 동시에 기업들에게는 다시 한 번 기회의 땅으로 급부상했죠. 그러면 서두가 너무 긴 것 같으니 본론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 Levi's

리바이스는 우리에게 데님으로 매우 유명한 청바지 회사이죠. 이미 트위터, 페이스북 세상에서는 소셜 미디어계의 선두주자로 칭찬이 자자합니다. 이러한 리바이스가 소셜 커머스 세상에서도 우뚝 부상하고 있는데요. 한 번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알아볼까요?

리바이스는 FRIENDS STORE라는 사이트를 개설하였는데요. 이 사이트는 페이스북과 연동이 되어 있습니다. 사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모든 제품에 "Like" 버튼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제가 쇼핑을 하다 마음데 드는 제품을 발견하여 Like를 누르면 친구들도 페이스북을 통해 이 사실을 알게 되는 구조이죠. 친구들도 저의 추천을 보고 FRIENDS STORE로 와서 제품을 더 자세히 구경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Like 버튼하나가 리바이스에게는 수익을 창출해주는 애물단지가 된 것이죠. 또한 비슷한 성향을 공유하는 친구의 추천이니만큼 믿을 수 있어 구매율도 높다고 합니다.

이 동영상을 참조하시면 리바이스의 비전에 대해 좀 더 잘 알 수 있을겁니다.

 

2. Procter & Gamble

우리에겐 P&G라는 이름이 더 친근하죠? 제가 블로그 초기에 P&G가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비법으로 소셜미디어마케팅을 소개했을만큼 P&G 또한 활발한 소셜미디어 활동으로 이름 난 브랜드입니다. 이러한 글로벌 기업의 F-Commerce는 어떤 모습일지 한 번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서 소개해봅니다.

리바이스와는 달리 P&G는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통해 소셜 커머스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Shop Now라는 탭을 따로 만들어 놓았죠. Pantene의 제품을 보기 좋은 레이아웃, 디자인과 함께 소개하고 있는데요. 여러분이 페이스북 페이지에 들어가 이 광고를 보고 마음에 드신다면 Buy It Now라는 버튼을 누르시면 되는데요. CTA(Call to Action: 구매로 이끄는 것)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Buy It Now를 누르면 이런 창이 뜨게 되고 Continue를 누르면 결제창으로 넘어갑니다. 페이스북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 것이죠.

 

이렇게 오늘은 리바이스와 P&G의 F-Commerce 사례를 보았는데요. 소셜커머스가 이제 막 발달하기 시작한만큼 어떤 방향으로 더 발전해나갈지 기대가 됩니다!

2010년 8월 14일 토요일

The Era of Social Commerce

   Today's keyword is social commerce. We have defined what social commerce is when we talked about Levi's before. Groupon is a leading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 in America. In Korea, Ticketmonster is gaining popularity, especially by people in their 20s and early 30s. Why these social commerce services are becoming popular these days?

 

   First, we need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social commerce. Three entities are involved in this process: local service provider,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 and customers. Local service providers register their services at social commerce websites. Customers glance over the registered services and buy the services they like. Social commerce is taking advantage of these customers' buying power. If a certain number of customers is willing to buy a certain service, local service providers bargain the service's price and customers can buy it at a much cheaper price. It is a sort of group purchasing.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give back the profits after they receive a commission.

 

   Customers can enjoy many different services that they really wanted to use but were too expensive without paying much. Local business providers can market their services and earn profits at the same time.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of course, yields profits during this transaction. All the entities involved benefit from social commerce.

 

   Yet, there are potential dangers in social commerce business.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local service providers might be poor. Thus,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must make sure that registered services are of good qualities. If people keep feeling disappointed or unsatisfied, social commerce business is bound to perish. It is of utmost importance for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to have many different local service providers because a variety of services provided matters to their customers. At the same time, the management of those local service providers should be rigorous enough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It is an undeniable truth that social commerce is on the rise. Many people even commented that social commerce is the most brilliant business model after Google. In order to further thrive,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should be wary of many potential dangers hidden in the industry and deal with those perils wis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