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group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group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0월 14일 목요일

F-Commerce: Levi's와 P&G의 성공스토리

2010 세계지식포럼이 드디어 끝났네요. 3일 동안 너무 많은 것들을 배워서 그런지 몰라도 기분이 매우 좋습니다. 이제 다시 블로그 포스팅을 열심히 해야겠죠?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ference: http://socialcommercetoday.com/the-future-of-f-commerce-levis-pg-bejeweled-lead-the-way/

---------------------------------------------------------------------------------------------

소셜미디어 세상에서 요즘 화제의 키워드는 바로 소셜 커머스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미국에서 GROUPON이 엄청난 성공을 거두더니 우리나라에서도 티켓몬스터가 호황을 누리고 있죠. 이러한 성공스토리를 보고 감명을 받은 사람들이 소셜 커머스 시장에 뛰어 들어 우후죽순으로 소셜 커머스 회사가 생겨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소셜미디어마케팅과 마찬가지로 소셜 커머스 세상도 호락호락한 곳은 아닙니다. 오늘은 Levi's와 P&G 이 두 회사의 F-Commerce 성공스토리를 엿볼텐데요. 설명을 덧붙이자면 F-Commerce는 소셜 커머스의 일종으로 페이스북을 활용한 소셜 커머스를 말합니다. Facebook이 올해 많은 개편을 하면서 동시에 기업들에게는 다시 한 번 기회의 땅으로 급부상했죠. 그러면 서두가 너무 긴 것 같으니 본론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 Levi's

리바이스는 우리에게 데님으로 매우 유명한 청바지 회사이죠. 이미 트위터, 페이스북 세상에서는 소셜 미디어계의 선두주자로 칭찬이 자자합니다. 이러한 리바이스가 소셜 커머스 세상에서도 우뚝 부상하고 있는데요. 한 번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알아볼까요?

리바이스는 FRIENDS STORE라는 사이트를 개설하였는데요. 이 사이트는 페이스북과 연동이 되어 있습니다. 사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모든 제품에 "Like" 버튼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제가 쇼핑을 하다 마음데 드는 제품을 발견하여 Like를 누르면 친구들도 페이스북을 통해 이 사실을 알게 되는 구조이죠. 친구들도 저의 추천을 보고 FRIENDS STORE로 와서 제품을 더 자세히 구경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Like 버튼하나가 리바이스에게는 수익을 창출해주는 애물단지가 된 것이죠. 또한 비슷한 성향을 공유하는 친구의 추천이니만큼 믿을 수 있어 구매율도 높다고 합니다.

이 동영상을 참조하시면 리바이스의 비전에 대해 좀 더 잘 알 수 있을겁니다.

 

2. Procter & Gamble

우리에겐 P&G라는 이름이 더 친근하죠? 제가 블로그 초기에 P&G가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비법으로 소셜미디어마케팅을 소개했을만큼 P&G 또한 활발한 소셜미디어 활동으로 이름 난 브랜드입니다. 이러한 글로벌 기업의 F-Commerce는 어떤 모습일지 한 번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서 소개해봅니다.

리바이스와는 달리 P&G는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통해 소셜 커머스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Shop Now라는 탭을 따로 만들어 놓았죠. Pantene의 제품을 보기 좋은 레이아웃, 디자인과 함께 소개하고 있는데요. 여러분이 페이스북 페이지에 들어가 이 광고를 보고 마음에 드신다면 Buy It Now라는 버튼을 누르시면 되는데요. CTA(Call to Action: 구매로 이끄는 것)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Buy It Now를 누르면 이런 창이 뜨게 되고 Continue를 누르면 결제창으로 넘어갑니다. 페이스북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 것이죠.

 

이렇게 오늘은 리바이스와 P&G의 F-Commerce 사례를 보았는데요. 소셜커머스가 이제 막 발달하기 시작한만큼 어떤 방향으로 더 발전해나갈지 기대가 됩니다!

2010년 8월 14일 토요일

The Era of Social Commerce

   Today's keyword is social commerce. We have defined what social commerce is when we talked about Levi's before. Groupon is a leading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 in America. In Korea, Ticketmonster is gaining popularity, especially by people in their 20s and early 30s. Why these social commerce services are becoming popular these days?

 

   First, we need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social commerce. Three entities are involved in this process: local service provider,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 and customers. Local service providers register their services at social commerce websites. Customers glance over the registered services and buy the services they like. Social commerce is taking advantage of these customers' buying power. If a certain number of customers is willing to buy a certain service, local service providers bargain the service's price and customers can buy it at a much cheaper price. It is a sort of group purchasing.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give back the profits after they receive a commission.

 

   Customers can enjoy many different services that they really wanted to use but were too expensive without paying much. Local business providers can market their services and earn profits at the same time.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of course, yields profits during this transaction. All the entities involved benefit from social commerce.

 

   Yet, there are potential dangers in social commerce business.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local service providers might be poor. Thus,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must make sure that registered services are of good qualities. If people keep feeling disappointed or unsatisfied, social commerce business is bound to perish. It is of utmost importance for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to have many different local service providers because a variety of services provided matters to their customers. At the same time, the management of those local service providers should be rigorous enough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It is an undeniable truth that social commerce is on the rise. Many people even commented that social commerce is the most brilliant business model after Google. In order to further thrive, social commerce service providers should be wary of many potential dangers hidden in the industry and deal with those perils wisely.

2010년 6월 27일 일요일

5 Emerging Social Media Sites to Watch

This post translated, modified, and reinterpreted the original post of http://www.socialmediaexaminer.com/5-emerging-social-media-sites-to-watch-in-2010.

---------------------------------------------------------------------------------------------

 

지금까지 소셜미디어 시장의 선두주자는 의심의 여지 없이 Facebook과 Twitter였습니다. 하지만 2010년에 주목해야 할 새로운 소셜미디어 사이트들이 여기 있습니다! 비록 이 사이트들이 Facebook이나 Twitter처럼 엄청난 수의 팬들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아직 아닙니다. 하지만 Facebook이나 Twitter가 단기간 초고속 성장을 이루어냈던 것처럼 이 새로운 서비스들도 그러한 잠재력을 지닌 것이죠. 한 번 그럼 그 사이트들이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1. Foursquare

주소: http://foursquare.com

   Foursquare의 인기는 이 사이트에 들어가 보시기만 해도 알 수 있는데요. 정말 1초마다 recent activity란이 바뀌고 있습니다. Foursquare는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인데요. 사람들은 자신들이 위치한 공간에서 "check-in"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Foursquare의 성장 뒤에는 스마트폰 시장의 폭발적 성장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check-in"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것이죠. 현재 일주일에 대략 백만명 이상의 "check-in"을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들은 Foursquare 서비스를 통해서 어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냐구요? 바로 "check-in"을 수시로 하는 사람들에게 비즈니스 운영자들이 특별한 혜택을 선사하는 방식으로 가치 창출을 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check-in"을 한 사람들에게 무료 식당 쿠폰을 제공하는 등의 이벤트를 활발히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현재 미국 45개 도시와 세계 국제 도시에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계속 서비스를 확장중에 있습니다.

 

2. Google Buzz

주소: http://www.google.com/buzz

   Google Buzz는 Google이 선보인 소셜네트워크 사이트입니다. Google Buzz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바로 Google Buzz가 gmail과 연동되어 있기 때문이죠. Facebook이나 Twitter 처럼 Google Buzz의 사용자들은 사진, 동영상등을 통해 자신의 상황을 끊임없이 업데이트 할 수 있습니다. 주로 gmail 사용자들간의 소셜네트워크가 구축이 되며 원한다면 gmail 사용자 이외의 사람들과의 연동도 가능합니다.

 

3. Loopt

주소: http://www.loopt.com

   이번에 소개할 소셜미디어 사이트인 Loopt 또한 Foursquare처럼 위치기반 사이트입니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면 사용자들이 서로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특정한 장소에서 만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특정 레스토랑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그 레스토랑에서 저녁 식사를 하자고 서로 이야기를 하고 만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기업 또한 Loopt를 통해 가치 창출이 가능한데요. 예를 들어, 한 뉴욕의 레스토랑은 자신의 레스토랑 주변에 위치한 Loopt 사용자들에게 할인 쿠폰을 전송하는 등의 이벤트를 벌였다고 합니다.

 

4. Blippy

주소: http://blippy.com

   이 사이트는 사람들이 보기에 "뭐지?"라고 할 수도 있는 사업 모델입니다. 기본적으로 Blippy는 지금 친구들이 어떤 아이템을 어떤 상점에서 어떤 가격에 구입하였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러면 친구들이나 다른 사용자들이 답글을 남기는 식이죠. 아직은 서비스 초반이라 미약해 보일지는 모르지만 점점 더 형성되는 네트워크가 커질수록 점점 더 매력적인 사업 모델로 발전할 것입니다. 특히 소매상인들에게 엄청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5. Groupon

주소: http://www.groupon.com

   이 서비스는 저에게 매우 흥미로운데요. 상품이나 서비스를 대량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의 집단을 형성시켜주는 사이트입니다. 바로 구매력 집합체(buying power group)를 제공하는 사이트이죠. 사람들이 이 상품을 사고 싶다고 뭉치게 되면 기업들이 적절한 가격을 제시하게 되고 이에 수긍하면 소비자들이 단체 구매를 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지속적인 구매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로고를 주기적으로 소비자들에게 노출시켜서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정말 대박인 사업인데요.

 

   이렇게 앞날이 밝은 5개의 소셜미디어 사이트를 만나보았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사이트가 끌리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