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7월 27일 화요일

SNS 전문가 양성과정 2기 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매일 경제에서 제공하는 SNS 전문가 양성과정 수업을 들으러 왔습니다!! 아침 10시부터 수업이 진행되서 무려 새벽 7시에 일어났는데요. 이게 과연 방학인지... 그럼 오늘 배운 내용들 중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들을 정리해볼께요.

 

1. 제목의 중요성

사람들이 태그가 검색노출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라는 요소라고 생각하지만 태그 못지 않게 제목이 매우 중요하다고 합니다. 따라서 제목은 최대한 키워드 위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여러분도 앞으로 블로그, 까페 등을 운영하실 때 좋은 제목을 설정해보세요!

 

2. Facebook과 Twitter 연동하기

Facebook에서 제공되는 Twitter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시면 Twitter에서 Facebook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반대는 안 된다고 해서 아쉽군요. 스마트폰이 없는 저는 사실 Facebook을 더 많이 이용하거든요. 여러분도 연동해보세요! 개인적으로 싸이월드에서 Facebook, Twitter를 한꺼번에 하는 날이 왔으면 좋겠네요.

 

3. 좋은 블로그 컨텐츠 만드는 법

이강석 강사님께서 좋은 말을 해주셨는데요.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처음에 베껴쓰고 모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고 했죠^^ 신문의 논설란을 참고하시면 일관적인 글쓰기 스타일을 배울 수 있어서 좋다고 하니 여러분도 한 번 도전해보세요!

 

4. 메타사이트

메타사이트에 여러분의 블로그를 등록하시면 유입수를 늘려 방문자수를 늘리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제가 오늘 매운 정보 중에 정말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는 정보인데요. 하지만 단순히 이런 식으로 방문수를 늘리는 것 이외에도 여러분이 직접 연관을 맺으신 블로그들과 끊임없는 소통을 (코멘트, 트랙배) 하신다며 진정한 의미의 블로그 지지자들이 많아질 것 같네요^^

 

오늘 너무 힘드네요. 조금 있다가 친구와 후배들과 함께 성균관대학교 정책발표회를 준비해야 하거든요. 그래도 미소를 잃지 말고 모두 함께 스마일:)

2010년 7월 26일 월요일

야후 소셜펄스!

안녕하세요! 요즘 좀 뜬금했죠? 개인적으로 바쁘다는 건 100% 거짓말이라고는 볼 수 없으나 핑계에 불과하니까 그냥 너그럽게 용서해주세요:) 오늘부터 다시 열심히 달리겠습니다! 내일부터는 매일경제에 아침 일찍 가서 SNS 전문가 양성 특강을 듣게 됩니다. 매일 후기를 올리도록 할께요^^

---------------------------------------------------------------------------------------------

 

요즘 스마트폰 춘추전국시대라고 하죠? iPhone 4G, VEGA, Galaxy S 등 수 많은 스마트폰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렇게 스마트폰 경쟁이 치열한만큼 우리 소셜네트워킹사이트(Social Networking Site, SNS)들도 치열한 경쟁 구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Facebook, Twitter는 물론 다양한 종류의 SNS들이 우리들의 관심을 받기 위해 엄청난 노력 중에 있는데요. 오늘 제가 소개할 SNS는 Yahoo!의 소셜펄스입니다.

주소: http://pulse.yahoo.com

그럼 소셜펄스의 기능들을 하나씩 소개해드릴텐데요. 소셜펄스의 기능 하나하나가 소셜펄스만이 가지는 장점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1. 소셜 네트워크 통합관리 용이

소셜펄스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야후!의 SNS는 주머니와 같은 존재입니다. 여러가지 SNS들을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죠. 현재 Facebook는 쌍방향 연동 활용이 가능하며 Twitter는 현재 tweet확인만 가능하지만 머지 않아 쌍방향 연동 활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한 번에 3가지 SNS들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소셜펄스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죠. 여러가지 SNS 계정을 만들어야 되는 시대에 이렇게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펄스가 나름 차별화에 성공했다고 생각합니다.

 

2. 고해상도 사진 업로드 및 무한 사진 저장

Flickr처럼 사진에 설명도 달 수 있고 또 원본사진을 고해상도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싸이월드의 경우에는 용량에 제한이 있어서 국내사용자들의 불만이 많았죠. 이러한 불만을 어느정도 해소해주네요.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은 사진에 구구절절 이야기 다는 걸 좋아하니까 말이죠^^

 

3. 개인 맞춤 연동 서비스

자기가 자주 찾는 사이트를 등록하면 업데이트가 있을 시 자동으로 알려줍니다. 이 기능 매우 마음에 드네요. 소셜펄스만 한 번 들어가면 여러가지 소식을 손쉽게 접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과연 야후!가 야심차게 준비한 소셜펄스가 성공할까요? 너무 강력한 주자들이 앞에서 지키고 있긴 한데요. 한 번 기다려보자구요:)

2010년 7월 24일 토요일

SNS marketing: IKEA and Helena Rubinstein

I woke up late... Yesterday I went to Yonsei University to take part in a English Literature Essay Contest. I was very lucky since the given passage was "The Tell-Tale Heart" by Edgar Allan Poe. I learned it in English Literature class last year:) But... no one knows who will get the prize since only 6 spots are reserved. Let's get back to our business.

---------------------------------------------------------------------------------------------

 

1. IKEA

IKEA is an international home products retailer that sells flat pack furniture, accessories, and bathroom and kitchen items. When IKEA launced a store in Malmo (Swiss), it decided to employ a social media marketing. The manager of the store opened a facebook account and uploaded 12 photos of his store for 2 weeks. The manager said, "Whoever tags our product first will get that product for free." People reacted to this notice, spreading the message to myriad people. IKEA was able to market itself without using a huge sum of money.

 

2. Helena Rubinstein

Helena Rubinstein is a cosmetics company. Last year, Helena Rubinstein launched a perfume named Wanted in collaboration with Demi Moore. Helena Rubinstein decided to use Demi Moore as its marketing strategy. She had 2 million followers on Twitter while her husband, Ashton Kutcher, had 4 million followers on Twitter. Having 6 million people to market its product, Helena Rubinstein asked Demi Moore to tweet a message: "Make a video about your wanting." A number of people actually created their own videos and uploaded them on YouTube. Moreover, myriad people got to know about the perfume.

2010년 7월 23일 금요일

Levi's: Social Commerce Using Social Plug-In

   We have clearly defined what social commerce is. We have also discussed why social commerce is getting popular. Now that we have dealt with the basics of social commerce, it is time to apply our knowledge to a real case. Today, I present you Levi's, a clothing company that is well-known for its denim jeans.

The official logo of Levi's

Social plug-in is a new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service provided by Facebook. Once Facebook introduced social plug-in, over 50000 websites decided to use this service in about a week. Social plug-in enables companies to be more social with their customers and provide their customers with more personalized services. Levi's is a leading company that utilizes social plug-in to its advantage and actually drive more profits from the service. Let us analyze the process by which Levi's achieved the goal.

 

1. Awareness

Levi's makes sure that its customers are aware of the fact that Levi's is connected to Facebook by putting a notice on its webpage.

 

2. Education

For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using Facebook, Levi's educates its customers on how to use Facebook. It even provides video clip to clearly convey its message. Thanks to its efforts, customers get to know how to use various functions of Facebook that is integral in social commerce.

 

3. Social Gestures

Levi's goes on to persuade its customers to actually make social gestures. It encourages its customers to use "Like" function. It even motivates its customers to "be the first of your friends" to use "Like" function.

 

4. Social Commerce

Levi's makes a shopping list for each customer based on the recommendations made by the customer's friends. This is the stage where actual purchasing takes place. Mission completed:)

 

What is so special about Levi's?

 

1. Since Levi's is connected to Facebook, users do not have to create their Levi's accounts. Thus,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access to Levi's social plug-in is huge.

 

2. It is word of mouth marketing in itself. If people "Like" what they like, those on Facebook are notified of their friends' recommendations.

 

3. As I said earlier, it increases the chance of real purchasing.

 

4. If Levi's connects this service to off-line, that would bring Levi's huge profits. While people shop, they can use their smart phones to "Like" their shopping lists. Then, those on Facebook again will be notified of their friends' suggestions.

 

We have explored the world of social commerce. Levi's is indeed at the top of this game!

2010년 7월 20일 화요일

Social Commerce

   Clouds are all over the sky, making me feel gloomy... Yesterday I saw movie titled "이끼." You should go and watch this one.

---------------------------------------------------------------------------------------------

 

Today, we are going to talk about social commerce. What comes up in your mind when you hear the words "social" and "commerce"? It is very hard to define exactly what social commerce is because the concept itself is something new. It may refer to group purchase sites. It may encompass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as a means of promote one's commerce. So just think that social commerce is the combination of social media and electronic commerce. It is in its very early stage of development, so we have to watch whether it will keep evolving. Then, why did social commerce become popular these days?

 

Before we move on, for those who really want to know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social commerce, here it is. Wikipedia says social commerce is a subject of electronic commerce that involves using social media, online media that supports social interaction and user contributions, to assist in the online buying and selling of products and services. Very Long! Oh... It keeps on saying... "More succinctly, social commerce is the use of social media in the context of e-commerce." See? Pretty much same with what we have talked about in the previous paragraph.

 

Let us get back to our business. Why is social commerce so popular? Analysts say there are mainly three reasons for which social commerce is under the spotlight of customers and companies.

 

1. Increase in Traffic

Social commerce basically takes advantage of huge social networks already established in social media. Thus, the number of prospective customers can be phenomenally huge if companies know how to use social media.

 

2. Substantial Decrease in Marketing Cost

This is what we have always talked about when discussing social media. Less marketing cost! (It does not mean that you do not invest time or money in social media marketing.)

 

3. Increase in Purchase Possibility

Friends share same interests. If a friend buys one product and recommends about it to his or her friends, those friends whose interests are similar to him or her are more likely to purchase the item, too. Also, people tend to believe what their friends and acquaintances say than what companies say.

 

Today, we discussed what social commerce is and why social commerce is popular. Tomorrow, we will go over the examples of social media to help our comprehension on the subject. Have nice day~

Nokia Commercial

노키아(Nokia)의 광고입니다. 상상력이 돋보이네요^^

2010년 7월 19일 월요일

한국의 Foursquare: 아임인

요즘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LBS)가 대세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는데요. Foursquare, Loopt, Gowalla(제가 조만간에 Gowalla에 관해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등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는 요즘 가장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분야입니다. 비록 Foursquare가 선두에 있기는 하나 어떻게 될지는 아무것도 모르는 것이죠. 이렇게 경쟁적인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LBS) 분야에 한국도 뛰어들었네요. 바로 아임인이라는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인데요. 그러면 어떤 서비스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oursquare에서는 체크인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면 아임인(I'M IN)에서는 발도장이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현재 거의 모든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는 인터페이스는 같지만 각각 표현만 다르게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Foursquare의 시장(mayor)와 Loopt의 보스(boss)가 서로 다를 바가 없는 것처럼 말이죠. 따라서 Foursquare처럼 자신이 지금 있는 장소에서 발도장을 쿡 찍으면 되는 것이죠.

이런 식으로 친구들이 어디서 발도장을 쿡 찍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Foursquare와 차별화된 점을 뽑자면 이렇게 사진을 찍어 올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매우 마음에 드네요. (저는 사진 찍는 걸 매우 좋아한답니다^^ 남는 건 사진 뿐이자나요?)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는 각각 서로 연동되는 소셜네트워킹사이트가 존재하는데요. Foursquare는 Twitter와 Loopt는 Facebook과 연동되어 사용되고 있죠. Loopt보다는 Foursquare와 좀 더 유사한 아임인도 Twitter와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웃은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요? "내가 추가한 이웃"과 "나를 추가한 이웃"이라는 말이 저 위에서 보이시죠. 쉽게 생각해서 "내가 추가한 이웃"은 Twitter의 following, "나를 추가한 이웃"은 Twitter의 follower와 일맥상통합니다. 즉, 승인 받을 필요 없이 추가하고 싶으면 이웃으로 언제든지 추가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Foursquare가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과 대조되는 부분이네요.

Foursquare의 시장, Loopt의 보스와 같이 아임인에는 콜럼버스가 있는데요. 콜럼버스는 어떤 장소를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에게 주어집니다. 솔직히 말해서 시장과 보스에 비해 그렇게 메리트가 없다고 생각되는데요. Foursquare와 Loopt가 기업의 활발한 프로모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아임인의 콜럼버스도 그러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아직은 잘 모르겠습니다.

 

Foursquare의 아성은 아직 무너뜨리기 어렵다는 말을 했는데요. Foursquare는 아주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어서 당분간 일등 자리를 아무에게도 내주지 않을 것 같습니다. 과연 아임인의 행보는 어떨까요? 한 번 눈여겨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Blackberry Commercial: Love What You Do

Blackberry의 광고입니다. 며칠 전에 Steve Jobs가 iPhone 4G 데스그립과 관련해 개최한 기자회견장에서 Blackberry를 비롯한 다른 스마트폰을 물고 늘어져서 Blackberry CEO가 매우 화가 났다고 하죠. 광고가 매우 희망적이라 마음에 드네요^^ Love What You Do! 가장 간단하지만 맞는 인생의 진리아닐까요?

 

2010년 7월 18일 일요일

Twitter's Mobile Location Based Service: Twitter Place

It's Monday! Do you feel refreshed? Although it rained cats and dogs during the weekend, never feel down! Start you day with a big smile:) Let's start our journey of the week!

---------------------------------------------------------------------------------------------

 

Last week, we have talked about mobile location based services such as Foursquare or Loopt. Indeed, mobile location based services are in the spotlight of customers and companies. Although Foursquare is a front-runner in this industry, a number of other mobile location based services are being launched, making this industry highly competitive. And, it seems like the competition will get fiercer as Twitter also launches its own mobile location based service, Twitter Place.

Twitter announced that its new service will build a cooperative system with Foursquare. Unlike Fourquare in which you only could locate yourself in terms of latitude and longitude, Twitter Place allows you to add restaurants or stores as new places. After adding the places, you can send tweets to your followers. Basically, it is like a check-in system in Foursquare.

 

What's more special about Twitter Place is that you can search tweets that are related to the place you are now in. As you can see in this photo, if you search Burlingame, CA, you can see tweets related to Burlingame, CA.

Twitter Place has been launched in 65 countries. You can download Twitter Place apps if you are using iPhone or Android. Will Twitter Place succeed in gaining market share this industry? Let's wait. Only time will tell.

IZAR: Smartphone for Women Commercial

KT에서 여성들을 위한 스마트폰인 IZAR를 출시했습니다. 광고도 매우 섬세하고 동화적인데요. 한 번 감상해보세요^^

2010년 7월 17일 토요일

Twitter가 돈을 버는 법: Promoted Tweets와 @earlybird

수지는 드디어 비가 그쳤습니다^^ 어제는 비가 하루 종일 와서 너무 우울하고 감성적이었는데요. 오늘은 바람도 불고 시원하네요~ 그럼 오늘도 힘차게 포스팅을 시작해보겠습니다!!

---------------------------------------------------------------------------------------------

 

오늘의 주제는 Twitter가 돈을 버는 법입니다. 소셜미디어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Facebook이 광고를 통해 대부분의 수입을 얻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실텐데요. 그렇다면 Twitter는 어떻게 돈을 벌고 있는 것일까요? 오늘은 Twitter가 자체적으로 선보인 2가지 비즈니스 모델인 Promoted Tweets와 Earlybir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romoted Tweets는 광고 수익 모델입니다. 이전에 제가 Twitter와 Facebook과 같은 소셜미디어가 검색이라는 기능을 흡수하고 있는 과정이라는 글을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요.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Twitter를 사용해서 검색을 하는 것에서 착안한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사용자가 어떤 키워드를 검색하면 그 키워드와 연관된 광고들이 뜨는 형태이죠. 이 광고도 tweet처럼 retweet이 가능하여 좋은 크리에이티브와 인사이트를 겸비한 광고라면 얼마든지 많은 사람들에게 퍼져나갈 수 있습니다. 광고는 항상 후에 평가의 대상이 되는데요. 이를 돕기 위해 Twitter는 Resonance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광고주는 Resonance를 통해 자신이 광고한 tweet을 몇 사람이 봤는지, 또 몇 사람이 reply했거나 retweet 했는지, 또 몇 사람이 링크를 선택했는지 등 총 9개의 영역을 총체적으로 평가한 내용을 제공받게 됩니다.

 

 

자 그럼 최근 Twitter가 발표한 @earlybird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earlybird는 광고주가 특정 시간에 한하여 자신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특별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하려면 이 @earlybird 계정만 follow하면 됩니다. 물론 reply, retweet등의 기능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이제 Twitter를 통한 실물경제 세상이 펼쳐진다고 보셔도 됩니다. @earlybird는 특정 시간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에 따라서 각기 다른 프로모션 전략을 구사할 수 있어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 현재 Twitter가 야심차게 개발하고 있는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LBS)인 Twitter Place와도 연동되어 활용될 가능성이 커 그 잠재력이 대단하다고 보여집니다.

 

이렇게 Twitter는 자신들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십분 활용한 여러가지 비즈니스 수익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과연 얼마나 성공할지는 시간만이 알려주겠죠. Twitter의 진화를 기대해봅니다^^

Tiffany & Co. Commercial: Give Voice to Your Heart

Tiffany & Co.의 광고입니다. 잘 나가는 보석매장이죠^^

2010년 7월 16일 금요일

Loopt: 소셜미디어와 실물경제의 관계

비가 정말 끊임없이 오네요... 저는 조금 있다 영어과 1, 2, 3, 4기 동문회를 가야한답니다. 가면 엄청 불편한 자리가 될 것만 같은 느낌이 팍팍 드네요. 자 그럼 오늘의 포스팅을 시작하도록 할께요!!

---------------------------------------------------------------------------------------------

 

어제는 Foursquare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LBS)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이러한 Foursquare에 강력한 도전장을 내민 서비스가 있습니다. 바로 Loopt라는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인데요. Foursquare는 현재 하루에 사람들이 100만회나 체크인(check-in)을 한다고 하니 아직 다른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가 따라잡으려면 시간이 좀 걸릴텐데요. 특히 어제도 강조했듯이 시장(mayor)와 뱃지(badge)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워낙 강하다 보니 다른 서비스들이 Foursquare의 아성을 무너뜨리기란 당분간 쉽지 않아보이네요. 자 그러면 오늘의 주제인 Loopt이야기로 다시 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Loopt와 Foursquare는 사실 서로 다른 점이 거의 없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그래도 몇가지 차이점을 꼽자면 Foursquare가 Twitter와 연동되어 사용한다면 Loopt는 Facebook과 연동되어 사용된다는 점이죠. 또 Loopt도 Foursquare의 시장(mayor)에 상응하는 보스(boss)가 존재하여 사실 두 서비스의 사용 방식은 거의 똑같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소한 차이점 이외에 꼭 구별해야 할 차이점이 하나 존재합니다. 바로 이 두 서비스가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보상제도이죠.

Foursquare는 어제 말했듯이 할인(discount) 등의 1회성 이벤트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레스토랑의 2시의 시장에게 그 날의 요리를 20% 할인해주는 식의 할인제도를 실행하고 있는 것이죠. 이에 반해 Loopt는 쿠폰(coupon)을 지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현재 기업 스폰서가 20여개가 있는데요. 그 중에는 스타벅스(Starbucks)나 버거킹(Burger King)과 같은 대형 스폰서들도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이 서비스가 주목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기업들에게 프로모션(promotion)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Foursquare보다 현실에서 물질적 보상이 더 큰 것이 바로 이 Loopt이죠. 실제로 이번 파리나 밀라노 패션쇼에서는 Loopt를 사용하여 패션쇼 기간동안 명품 브랜드들이 많은 이벤트들을 진행해왔습니다. 일종의 Loopt는 쿠폰북이 되는 것이죠. 사용기한에 제한도 없고 Loopt의 스폰서 기업이라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쿠폰북 말입니다. 따라서 소비자가 얻는 편익이 Foursquare에 비해서 큰 편이죠. 아직은 초기 단계라 Foursquare의 위엄에는 조금 밀리고 있지만 훌륭한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봅니다!

2010년 7월 15일 목요일

Foursquare: 2010년형 땅따먹기?!

안녕하세요. 오늘과 내일은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위치기반서비스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넘어가는 것이 좋겠죠? 위치기반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을 말하는데요. 이러한 위치기반서비스는 유비쿼터스(Ubiquitous)를 실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공간 서비스이지만,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각국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활성화와 위치정보의 오남용을 막기 위한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출처: NAVER 백과사전]

 

이제 위치기반서비스가 무엇인지 알았으니 오늘의 주제인 Foursquare에 대해 알아봅시다. 오늘 알아볼 Foursquare와 내일 탐구할 Loopt 모두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에 해당합니다.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는 최근 스마트폰 열풍과 더불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분야인데요. 후에 설명하겠지만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 있어 회사들에게도 집중 탐구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Foursquare는 제가 제목에서도 말했듯이 일종의 땅따먹기 게임입니다. Foursqure가 어떤 식으로 하는 건지 간단히 설명을 드릴께요. 우리가 이곳저곳 돌아다니면서 자기가 원하는 장소에 체크인(check-in)을 하게 됩니다. 체크인을 가장 많이 한 사람이 그 장소의 시장(mayor)가 되게 됩니다. 체크인을 할 때마다 그 장소에 관한 짧은 메모들을 남길 수 있고 그 메모들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공유됩니다. Foursquare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인간의 2가지 본능을 잘 조화시켰기 때문인데요. 첫번째 본능은 바로 다른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하고 싶은 본능입니다. 이건 모든 소셜미디어에 해당하는 설명이니까 뛰어 넘어도 되겠죠? 두번째 본능은 사적 공간(private place)의 소유에 관한 것입니다. 모두들 자신들만의 영역을 원하는 건 과거의 역사가 잘 보여주고 있죠.

그러면 기업들에게는 Foursquare가 어떤 의미를 지닐까요? 현재 기업들은 Foursquare를 통해 할인 혜택 등을 나눠주는 식의 이벤트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즉, 그 장소에 check-in을 자주하는 사람들에게 근처 식당의 할인권을 나눠주는 식의 1회용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죠. 아직 서비스 초기인 Foursquare에 상당히 많은 기업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이 속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트위터(Twitter)가 Promoted Tweet이라는 상품을 내놓은 것처럼 말이죠.

 

Foursquare 꽤 재밌을 거 같지 않으세요? 오늘 한 번 체크인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아차! 까먹은 게 있는데요...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들을 즐기기 위해서는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블랙베리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LG Optimus Q TV Commercial

정말 스마트폰 춘추 전국시대입니다. 어제 VEGA라는 새로운 스마트폰이 출시되었죠! 과연 진정한 승자는 누가 될까요? LG의 야심작 Optimus Q의 TV 광고를 올립니다. 즐감하세요~

2010년 7월 14일 수요일

Domino's Pizza's Social Media Marketing: A Half-Success?

I am finally on vacation. Yeah~

---------------------------------------------------------------------------------------------

Today's topic is Domino's Pizza. I ate it yesterday, and it was very delicious as usual. What happened to Domino's Pizza? Let us check it out.

 

A few weeks ago, an e-mail came in. The title read "You can eat Domino's Pizza for free." I clicked an e-mail hurriedly so as not to miss a chance to eat it free of charge. The e-mail turned out to be an advertisement, not so surprisingly...

The advertisement featured its newest model, Girl's Generation. (Yeah~ I should eat it more frequently.) The advertisement said that I can get a 1000 won discount per 100 followers. If you have more than 20000 followers, you can get a pizza for free because you will get a 20000 won discount. This advertisement was invented in order to encourage customers to follow a Domino Pizza Korea's Twitter account. I thought this advertisement was very ingenuous and was sure this one is going to succeed. Yet... it went against my expectation.

This picture illustrates the process by which messages are propagated via Twitter. If one twitter user posts a 140-words tweet, the message is directly sent to his or her followers. If followers like this message, they can retweet it so that their followers also can share this useful information. It is like a cell division. Messages can be spread to a huge number of people in an amazingly short period of time. This is the dynamics of Twitter, and this is the very reason why many people are addicted to it. Moreover, this is the core reason why enterprises keep their eyes close on Twitter.

The outcome of this advertisement was disastrous. People were only interested in increasing their followers so that they can get their pizzas for free. People did whatever they could do. This phenomenon only ended up increasing the number of zombie accounts. Domino's Pizza tweeted an apology for creating this huge chaos.

 

What did Domino's Pizza miss? The very purpose of Twitter, as I repeatedly said, was communication. However, when marketers designed this advertisement, they excluded communication factor. They should have designed the advertisement in a way that people can communicate with Domino's Pizza. However, by its mistake, the only incentive given to its customers was money: eating pizzas for free. Avid Twitter users castigated Domino Pizza's for violating Twitter rules and honor codes.

 

The lesson corporate marketers should learn from this incident is that social media is all about communication, not profit maximization.

2010년 7월 12일 월요일

삼성(Samsung)의 두근두근 Tomorrow: SNS 크로스오버 Part3

벌써 삼성(Samsung)의 두근두근 Tomorrow 캠페인 포스팅도 마지막 시간을 맞이했네요... 저도 이번 포스팅을 하면서 배운 점도 많았습니다. 특히 유익하고 재미있는 자료가 매우 많아서 신나게 포스팅을 했는데요. 앞으로도 이렇게 눈 여겨 볼만한 기업 소셜미디어마케팅 사례들을 열심히 발굴해내도록 할께요!! 그럼 본격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

 

첫번째 포스팅에서는 삼성이 야심차게 선보인 두근두근 Tomorrow의 시작을 알린 4 Tomorrow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또 두번째 포스팅에서는 삼성이 요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친환경기술을 프로모션하기 위한 그린마케팅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오늘은 마지막 포스팅으로 올림픽&월드컵을 이용한 스포츠마케팅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3개의 포스팅 모두 삼성이 두근두근 Tomorrow라는 이름 아래서 진행한 SNS 크로스오버라는 점 있지 마시구요. 먼저 본격적인 소개에 앞서 중요한 점을 짚고 넘어가보겠습니다.

 

4 Tomorrow 마케팅에서 주목할 점은 삼성이 삼성의 브랜딩을 위해 아이러니하게 삼성의 이미지를 최대한 배제했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린마케팅에서 주목할 점은 삼성이 풍부한 콘텐츠를 제공해 사람들의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냈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럼 이번 스포츠마케팅에서 놓쳐서는 안될 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시의성(timeliness)입니다. 시의성이라는 용어를 사전에서 찾으면 "때의 사정에 맞거나 시기에 적합한 성질"이라고 나오는데요. 바로 삼성이 영리하게 시기적절하게 올림픽과 월드컵을 활용해 자신의 브랜드 가치를 한번 더 끌어올린 것이죠. 자 그러면 이제 김연아 선수와 박지성 선수를 만나러 가볼까요?

 

먼저 공식 홈페이지 활동을 살펴볼께요!

2010년 남아공 월드컵 결국 스페인의 승리로 돌아갔죠. 두근두근 대한민국이 가장 상위 카테고리를 차지하고 밴쿠버 2010은 밀려서 밑에 있네요. 두근두근 밴쿠버 2010 카테고리로 들어가보면 뭐가 있을까요?

이렇게 사람들이 직접 손으로 올린 현장 후기들이 올라와 2010 밴쿠버 올림픽의 열기를 더했습니다.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콘텐츠! 삼성이 항상 중요시 여기는 사람(人)다운 모습을 잘 나타내주네요.

이미 김연아는 삼성 하우젠에어콘 ZERO의 전속모델로 활동하고 있어서 김연아를 활용한 적극적인 올림픽 마케팅이 돋보였습니다. 희망이라는 키워드를 계속적으로 모든 국민들의 염원인 김연아에 일치시켜 사람들의 삼성에 대한 이미지를 재고시켰죠. 하지만 단순히 김연아에게만 집중했다면 이번 올림픽마케팅이 참패로 끝났을지도 모릅니다.

이렇게 비인기 종목의 선수들에게도 사람들의 응원메세지들을 전달해주면서 삼성은 역시 다르다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모든 경기 일정에 맞추어 모든 종목의 선수들에게 응원메세지들을 손수 전달해주는 삼성을 보면서 사람들은 인간미를 느꼈습니다.

또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에픽하이가 응원동영상도 찍어 YouTube에 개제하는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채널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2010 밴쿠버 올림픽을 뒤로 하고 최근 가장 화제가 되었던 2010 남아공 월드컵으로 주제를 바꾸어볼까요?

월드컵 마케팅에서 주요했던 점은 바로 활발한 트위터의 사용이었습니다. 특히 박지성이 자신의 트위터의남긴 트윗을 그대로 따와 광고카피로 활용하였는데요. 정말 큰 인기를 끈 것이 또 있는데요. 바로 봉산지성 동영상입니다.

삼성에서 영국에 있던 박지성 선수에게 찾아서 대한민국 국민들이 선보인 골세레모니 영상 클립들을 보여주고 그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세레모니를 월드컵에서 선보여달라고 했는데요. 의도하고 했는지는 몰라도 실제로 그리스전 득점 후 봉산탈춤과 비슷한 춤을 춰서 화제가 되었죠. 덕분에 삼성 마케팅담당자들을 얼굴에서 미소가 끊이지 않았다는 후문입니다.

 

이렇게 지금까지 스포츠마케팅을 살펴보았는데요. 스포츠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다시 말하지만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광고 모델과 마케팅 채널을 통해 적절한 콘텐츠를 유포한 것입니다. 바로 이 시의성을 잘 인지해 삼성이 큰 성공을 거둔 것이죠.

 

이렇게 삼성의 두근두근 Tomorrow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매우 흥이로운 마케팅이고 SNS 크로스오버의 중요한 사례로서 꼭 다루고 싶었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소셜미디어로 연(緣)테크하기

드디어 3학년 1학기 기말고사가 끝났습니다^^ 학교 들어와서 처음으로 straight A를 맞아서 기분이 날아갈 것 같네요ㅎㅎ 이제부터 다시 열심히 포스팅을 시작할께요^^ 게다가 이틀 후면 대망의 여름방학이라 지금 매우 설레요!!

----------------------------------------------------------------------------------------------

 

연(緣)테크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재테크가 자산을 관리하는 거라면 연테크는 바로 인맥을 관리하는 건데요. 요즘 들어 인간 관계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면서 인맥을 잘 관리하는 사람이 성공한다는 인식이 사회에 퍼져있죠. 이런 연테크를 하는데 소셜미디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기사를 읽게 되어 이렇게 포스팅합니다^^

 

제일기획이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SNS 이용행태를 조사했는데요. 조사 결과 질문대상자의 69%가 미니홈피, 동호회, 까페, 블로그, 마이크로블로그(트위터, 미투데이 등)와 같은 SNS에 주 3회 이상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69%의 사람들 중 85%는 하루에 1회 이상 SNS에 접속한다고 합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모바일 SNS에 접속하는 사람들의 52%는 무려 하루에 5회 이상 접속한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응답자의 다수가 이런 SNS를 사용하면서 자신이 트렌드를 앞서가고 있다고 느낀다고 답하여 조사자들의 흥미를 끌었는데요. 이번 리서치를 담당한 제일기획 조경식 마케팅전략본부장은 수평적 네트워크 시대에 개인의 네트워크와 그 네트워크에서 오는 정보력이 개인의 파워를 보여주는 시대가 되었다고 말하며 연테크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연테크 여러분은 잘하고 계신가요? 항상 말하지만 인간 관계는 진실성이 중요한 거 잊지 마세요!!

2010년 7월 10일 토요일

삼성(Samsung)의 두근두근 Tomorrow: SNS 크로스오버 Part2

안녕하세요! 어제 친구들과 함께 캐리비안 베이에 놀러 갔어요. 금요일이라 사람들이 적을 줄 알았는데 진짜 많은 사람들이 놀러와서 깜짝 놀랐답니다. 워터 슬라이드 하나 타려면 거의 1시간은 기본으로 기다렸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만에 놀다와서 그런지 매우 재밌었네요. 그럼 이제 오늘의 포스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삼성(Samsung)의 두근두근 Tomorrow 캠페인! 저번 포스팅에서 제가 2가지를 강조했는데요!

1) 삼성의 두근두근 Tomorrow는 블로그, 트위터, 위젯을 효과적으로 연계한 SNS 크로스오버이다.

2) 삼성은 삼성의 효과적인 브랜딩을 위해 아이러니하게도 삼성이라는 요소를 최대한 배제시켰다.

 

그러면 이제 삼성이 프로젝트 걸그룹 4 Tomorrow 이후에 시작한 두근두근 Tomorrow 캠페인 Part2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할께요. 삼성은 요즘 자신들이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이며 그에 알맞는 녹색기술(green technology)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앞세워 활발한 그린마케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효과적인 메세지의 전달을 위해 최고의 주가를 달리고 있는 2AM과 카라를 전면에 내세우게 됩니다. 정확히 어떻게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하나하나씩 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두근두근 Tomorrow 캠페인의 공식 홈페이지 인데요. 상큼한 카라가 들어가자 마자 우리를 맞이하고 있네요. 그렇다면 무슨 콘텐츠들이 있을까요?

이렇게 블로거들이 환경에 관해 올린 포스팅, 카툰 등이 올라와 있습니다. 실제로 몇개를 읽어보니 정말 유익한 내용도 많고 특히 카툰은 매우 흥미로워서 여러분도 한번 보시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콘텐츠만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건 절대로 아니죠. 그래서 삼성도 머리를 썼는데요. 이름하여 카라, 2AM 스크린세이버!! 남성들을 위한 카라 스크린세이버와 여성들을 위한 2AM 스크린세이버가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스크린세이버 모드로 전환되면 5명의 카라멤버들이 각자 춤을 춥니다. 엄청 귀엽죠? 2AM의 경우에는 멤버들의 24시간 생활모습을 보여줍니다. 만약 11시 47분에 스크린세이버 모드로 전환되면 11시 47분의 2AM 멤버들 모습을 보여주게 되죠. 물론 주제는 환경친화적 라이프스타일입니다.

이게 전부가 아닙니다. 또 삼성은 방문자들의 재미와 공익성을 위해 카라 게임을 선보이게 됩니다.

이름하여 카라 샤워게임인데요. 원하는 멤버를 선택해 플레이를 시작하시면 그 멤버가 샤워를 하고 싶은데 물이 안나옵니다. 그러면 삼성의 친환경 물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물이 나오게 해야하죠. 제시간에 성공하면 그 멤버의 샤워하는 모습이 나온답니다. (저는 구하라를 열심히!!) 카라 샤워게임만 있으면 또 여성분들이 화가 나겠죠? 그래서 2AM 게임도 있는데요. 바로 2AM 페트병 줍기 게임입니다.

저는 한번 깝권으로 플레이를 해보았는데요. 장애물을 피해서 저기 있는 페트병을 주우면 됩니다. 이 모든 게임들은 위젯 형식으로 제공되었는데요. 따라서 사람들이 컴퓨터를 하다가 심심할 때 언제든지 할 수 있게 제작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삼성은 공익성과 재미라는 2마리 토끼를 잡게 됩니다.

또 삼성은 트위터도 운영하고 있는데요. (현재 월드컵마케팅 중이라 그린마케팅 콘텐츠는 찾기 어렵습니다. 양해해주세요^^) 트위터는 스포츠마케팅 시간에 집중 조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다음 등 주요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도 이렇게 전면 광고를 개제합니다. 이렇게 해서 사람들의 녹색기술에 관한 전반적인 인식수준을 향상 시키고 또한 이 캠페인을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시켜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두어 들입니다.

또한 이렇게 주기적인 배너광고도 생산해서 이 캠페인이 일회성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실제로 스토리를 지닌 훌륭한 마케팅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Green Tech 캠페인 마케팅 공모전까지 기획해 소셜미디어마케팅의 키워드 중 하나인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성공합니다.

 

삼성의 두근두근 Tomorrow가 이렇게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찾으셨나요? 바로 풍부하고 다양한 콘텐츠로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어낸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두근두근 Tomorrow 캠페인은 매우 성공한 캠페인으로 평가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박지성과 김연아를 내세워 했던 올림픽과 월드컵마케팅을 알아보도록 할께요^^

2010년 7월 7일 수요일

삼성(Samsung)의 두근두근 Tomorrow: SNS 크로스오버 Part1

오늘 미분과 적분, 영어 독해 시험을 봤습니다^^ 수학 서술형에서 점수가 많이 나가서 엄청 걱정했는데...그래도 다행이 A가 나왔습니다!! 내일은 문학 시험만 봐서 마음이 편하네요. 그럼 오늘의 포스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오늘 아침에 기숙사에서 빠져나오기 전에 잠시 신문을 봤는데요.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의 2분기 영억 실적이 무려 5조를 돌파했다는 기분 좋은 기사를 접했습니다. 1분기에 비해 13% 이상 증가했다고 하는데요. 말이 쉬워서 5조지 정말 대단한 실적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대한민국 1등 기업인 Samsung의 소셜미디어마케팅에 관해서 알아볼려고 하는데요. 그 중에서 삼성의 두근두근 Tomorrow 마케팅에 대해서 집중 조명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두근두근 Tomorrow가 소셜미디어마케팅에 있어서 가지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두근두근 Tomorrow 캠페인은 대한민국 최초로 블로그, 트위터, 위젯이라는 3가지 소셜미디어를 서로 연계하여 진행한 SNS 크로스오버 마케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집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기업들이 소셜미디어마케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여러가지 한계점이 있는데요. 일회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각 소셜미디어 간의 유기적인 관계가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삼성의 두근두근 Tomorrow 소셜미디어마케팅은 그러한 두가지 한계점을 적절히 극복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삼성의 두근두근 Tomorrow는 제가 총 3가지 파트로 나누어서 포스팅할 예정인데요. 오늘은 Part1으로서 두근두근 Tomorrow 마케팅의 시작을 알린 두근두근 Tomorrow 프로젝트 걸그룹 마케팅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Part2와 Part3는 각각 삼성의 그린마케팅와 스포츠마케팅을 집중 조명할 예정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가장 눈여겨 보실 점은 삼성이 자신의 브랜딩을 위해서 삼성이라는 이미지를 최대한 배제했다는 점입니다. 그러면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2009년은 정말 걸그룹들의 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는데요. 그리하여 삼성의 2009년 최고의 걸그룹에서 각각 멤버를 선발하여 프로젝트 걸그룹 4 Tomorrow를 선보입니다. 브라운아이드걸스의 가인, 애프터스쿨의 유이, 카라의 한승연, 포미닛의 현아로 구성된 이 그룹은 공개되자마자 실시간 1위를 차지할 만큼 사람들의 엄청난 관심을 받았는데요. (개인적으로는 현아가 진리라고 생각함!) 삼성은 각 멤버에게 스토리를 부여하여 스토리뮤직비디오를 차례대로 공개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여기서 멈추었다면 소셜미디어마케팅의 강자라는 칭호를 절대 얻지 못했겠죠. 삼성은 두근두근 Tomorrow 전용 블로그와 트위터를 활발히 활용합니다. 스토리뮤직비디오처럼 자신만의 인생스토리를 공모하기도 하였죠. (현재는 두근두근 Tomorrow가 그린마케팅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블로그와 트위터도 그에 따라 바뀐 상태입니다.)

 

   또 오프라인 상에서 두근두근 Tomorrow 까페를 운영하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4 Tomorrow 주인공들이 까페를 일일 운영하기도 해 또 한 번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죠.

   아직까지는 SNS 크로스오버로서의 진정한 모습을 보이기에는 부족한 면이 없지 않습니다. 어떻게 보면 일차적이고 노이즈마케팅, 버즈마케팅 적인 요소가 강하게 드러나죠. 하지만 그린마케팅을 넘어오게 되면서 진정한 SNS 크로스오버로 거듭나게 됩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그걸 제가 보여드리겠습니다^^

Sony Ericsson XPERIA X10 Commerical

The latest commerical of XPERIA from Sony Ericsson.

 

Very interesting and creative:)

 

They are playing with their fingers...and there comes a new relationship!!!

 

2010년 7월 5일 월요일

Smart Phone Generation

I took English literature exam today. I think I did pretty well:) I kept saying that I might not be able to post articles, but here I am again... Maybe I am addicted to posting articles on my blog.

----------------------------------------------------------------------------------------------

  

XPERIA

iPhone 4G

Galaxy S

Galaxy S

   Today's topic is a smart phone. Nowadays, we are inundated with smart phones that compete with each other fiercely in the market. iPhone of Apple, Galaxy S of Samsung, XPERIA from from Sony and so on. People say that the smart phones are changing our society. My question is how did change our lives? What impact did they have on us? Let us talk about that today.

 

   Experts say that most people will have smart phones in their hands by 2013. Smart phones are currently widely distributed among people in their 20s, 30s, and 40s. Thanks to the craze with smart phones, software industry is now booming. App stores are new business models that were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Smart phones also being connected to social media, allowing peop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ever and wherever they are.

 

   Smart phones are fundamentally changing the lifestyle of our generation. That is why experts say we are smart phone generation. We can reach abundant information and social networks real-time. We can experience reality without the limitation of time and place. Experts say we are always "ON" thanks to the smart phones. Smart phone generation is smart. Thus, traditional marketing methods can no longer appeal to this smart phone generation.

 

   Smart phones liberated people from physical limitation. People can always connect to the Internet if they want to. They also prefer mobile social networking services which are more powerful at distributing their messages. They rely more on the on-line information than the off-line one. They mash up media, merging different media into a new media. They like mobile games that are light to play and can enjoy with people from all generations. These are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phone generation.

 

   As you can see from the aforementioned examples, smart phones are changing the society on a more fundamental level. If you do not have a smart phone with you, you should consider buying one for your future.

Samsung Galaxy S Commercial

Good Is Not Enough.

Turn On Smart Life.

 

Apple의 아이폰4G에 뒤지지 않고 있는 Samsung의 야심작 Galaxy S의 광고입니다.

 

2010년 7월 4일 일요일

온라인 이슈 대응 프레임워크

드디어 일주일간의 시험기간에 들어갔습니다. 내일은 영문학 시험이라 어느 정도 여유가 있어서 포스팅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주 한 주 행복하게 지내세요!

----------------------------------------------------------------------------------------------

 

1. 모니터링

   온라인 이슈가 발생하기 전부터 기업은 항상 소셜 미디어 상에서 무슨 일이 벌어나고 있는지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기업은 모니터링 시스템을 잘 구축해놓아야 합니다. 위기가 일어나지 않아도 평소에 주기적으로 소셜미디어를 모니터링해 어느 정도 자료들을 수치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트래픽을 리포트 형식으로 알아본다던지 버즈량을 차트 형식으로 정리해보는 것이 있겠죠. 하지만 위기가 발생할 시 주기적으로 시행하던 모니터링을 실시간 체제로 전환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즉각즉각 위기대응플랜에 반영해야 합니다.

 

2. 관계 구축

   소셜미디어의 키워드가 "관계"라고 할만큼 소셜미디어에서는 "사람"이 중요합니다. 결국 이슈메이킹을 하는 것도 사람이고 그 이슈를 잠재우는 것도 사람이니까요. 평상시에 기업은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그룹과 비우호적인 그룹을 정확히 규명해 놓아야 합니다. 우호적인 그룹은 기업에 위기가 날 때 긍정적인 뉴스를 생산하여 기업을 도와주는 반면 비우호적인 그룹은 기억에 위기가 날 때 부정적인 뉴스를 생산하여 기업에게 공격을 가하죠. 따라서 이들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기가 발생할 경우에는 미리 관계를 잘 구축해 놓은 우호자 그룹을 통해 기업의 이슈 극복 노력을 알리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또, 비우호적 그룹이 부정적인 뉴스를 생산하는 대화 공간을 빨리 알아채서 대응 전략을 발빠르게 짜야 합니다.

 

3. 사전 준비

   유비무환이라고 했습니다. 기업은 평소에 위기가 발생할 때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미리 만들어 놓고 때때로 실제로 한 번 위기대처 모의프로그램을 훈련해봐야 합니다. 또, 위기가 발생할 시 전문적으로 이 문제를 담당할 태스크 포스도 미리미리 확충해 놓아야 합니다. 더 나아가 다크사이트의 개설도 필요한데요. 다크사이트란 기업에 위기가 발생할 때 사용하는 사이트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A사에서 위기가 발생하면 A사는 기존의 기업 홈페이지를 다크사이트로 전환시켜 이 채널을 통해 위기 대응을 하고 기업의 위기 극복 노력을 일반인들에게 알려야 합니다. 실제로 위기가 발생한다면 앞서 말한 것들을 가동해야 겠죠.

 

4. 온라인 위기 대응

   평소에 기업이 소셜미디어 채널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위기가 발생하고 소셜미디어 채널을 만들기 시작한다며 이미 늦었고 헛짓을 하는 것입니다. 항상 말했듯이 사람, 대화, 신뢰가 없는 소셜미디어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형태만 존재할 뿐이죠. 따라서 평상시에도 기업-고객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합니다. 실제로 위기가 발생하면 이 소셜미디어들은 훌륭한 자산으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자신들의 위기 극복 노력을 홍보할 여러가지 채널이 존재하면 그러한 메세지의 확산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고객들이 어느 정도 기업에 신뢰가 있으므로 이러한 메세지를 더 믿게 됩니다.

 

5. 온라인 프로모션

   요즘은 한 검색어만 쳐도 연관검색어까지 리스트로 뜨는 데요. 기업은 평소에 긍정적, 부정적 검색어를 리스트화 할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로 위기가 발생한다면 미리 관리해 놓은 리스트들을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해야 쓸데 없는 시간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동영상 등의 멀티콘텐츠도 제작하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주요 포털 사이트에 두 눈 크게 뜨고 모니터링을 해야 하는 것이죠. 그 결과를 기반으로 동영상 등의 온라인 프로모션을 할 때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기업의 온라인 이슈 대응 프레임워크를 알아봤습니다. 한동안 기업의 위기 관리 전략만 해서... 좀 주제가 무거웠죠? 이제는 case study 등을 통해 재미있게 소셜미디어마케팅을 알아가볼까 합니다. 다음에는 그래서 SAMSUNG의 두근두근 캠페인을 집중 조명해보고자 합니다. 기대해주세요!!

 

2010년 7월 3일 토요일

소셜미디어 위기 관리를 위한 핵심 키워드 5 Part2

내일부터 3학년 1학기 기말고사가 시작되네요... 그래서 당분간 글을 뜸하게 올리게 될 것 같아요. 그래도 자주 제 블로그 방문해주시길 바랄께요^^

----------------------------------------------------------------------------------------------

 

   저번 시간은 "위기 관리"를 주제로 글을 써보았는데요. 항상 개인과 기업 모두 언제 닥칠 지 모르는 위기에 항상 미리 준비하고 위기가 발생할 시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플랜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또 실제로 위기가 발생하면 미리 만들어 놓은 시뮬레이션 모델에 따라 발빠른 대처를 해야 하구요. 저번에는 "속도", "투명성", "대화"라는 3가지 키워드를 공개했는데요. 그러면 나머지 2개의 키워드에 대해서도 오늘 알아보도록 할께요^^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제가 포스팅하는 이 글의 바탕은 제가 이번 주 화요일에 참석했던 소셜미디어마케팅 컨퍼런스입니다.

 

   4. 검색

   제가 며칠전에 소셜미디어가 검색 기능을 흡수하고 있는 중이다라는 글을 포스팅하였는데요. 검색을 통해 소셜미디어 상에서 오고가는 수많은 대화의 키워드를 잡아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은 반대로 보면 기업의 위기 상황이 순식간에 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기업을 검색하는 사람들은 그 기업의 위기 상황에 대해 손쉽게 알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이러한 정보는 서로 링크되고 링크되어 검색결과에 다양하게 반영되게 됩니다. 따라서 한 번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인 검색 결과에 반영되기 시작하면 이를 상쇄하는 데에는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죠. 예를 들어, 미국의 한 도미노 피자 직원들이 피자 만드는 과정에서 비위생적인 장난을 친 동영상을 아무런 생각없이 YouTube에 올렸는데 삽시간에 이 동영상은 퍼져나갔습니다. 그 사람들이 올린 원본뿐만 아니라 파생본까지 빠른 속도로 웹 상에 이슈를 불러일으켰죠. 따라서 기업은 항상 검색 결과를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5. 공격자

   옛말에 사람만큼 무서운 게 없다고 하죠. 위기가 닥쳤을 때 기업에게 가장 무서운 존재들 또한 바로 사람들입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소셜미디어를 활발하게 사용해 소셜미디어 상에서 어는 정도 신뢰도를 얻은 사람들말입니다. 소셜미디어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개인이 기업보다 큰 목소리를 가진다는 점입니다. 전통적인 미디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죠. 따라서 소규모의 개인들이라도 소셜미디어를 활용해서 얼마든지 이슈메이킹을 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여기서 기업이 간과해서는 안되는 점은 바로 이러한 사람들은 소셜미디어 네트워크에서는 영향력 행사자이기 때문에 이들의 파워를 단순히 트래픽 같은 수치화된 정보로 파악하면 안된다는 점입니다. 예전에 Dell에 관한 포스팅을 기억하시나요? Dell이 소셜미디어 활용 1등 기업이 되는 데에 어떤 사건이 있다는 것을 설명했는데요. 바로 Dell이 한 고객의 불평을 무시했다가 그 고객이 자신의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Dell의 불친절함을 말했고 서서히 웹 상에서 퍼져나가 신문매체에 Dell의 안 좋은 사례가 소개되었죠. 그 후로 Dell이 정신을 차리고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좋은 마케팅을 해나갔고 현재는 거의 독보적인 존재를 차지하고 있죠. 이렇게 공격자는 무서운 것입니다. 이들을 잘 관리하는 것이 바로 위기를 잘 관리하는 것이죠.

 

   이제 이렇게 5가지 키워드를 알아 보았으니 다음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위기 상황시 행동해야 하는 지 그 행동 프레임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저는 기말고사가 끝나고 컴백할께요!!

2010년 7월 2일 금요일

소셜미디어 위기 관리를 위한 핵심 키워드 5 Part1

안녕하세요^^ 내일은 미적분 공부하느라 매우 바쁠 것 같아서 자기 전에 짧게 또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학생이라서 여러가지로 시간 제약이 많은 점 이해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비가 왔는데 조권의 "고백하던 날"을 들으면서 우울한 기분을 달랬네요:) 그럼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

 

벌써 제가 이 블로그를 운영한 지 2개월이 훌쩍 넘었네요. Time flies라는 말이 고3인 제게는 정말 절실하게 와닿는데요. 여러분이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제가 이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얼마 안되었을 때 도요타의 위기 관리 전략을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그 연장선상에서 오늘은 소셜미디어를 사용해서 위기 관리를 할 때 중요한 5가지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가 참석한 소셜미디어마케팅 컨퍼런스에서 들을 강의를 기반으로 합니다.

 

1. 속도

   소셜미디어의 훌륭한 장점이 기업이 위기에 처했을 때는 무서운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소셜 미디어 덕분에 모든 정보가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있죠. 위기가 발생하면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아고라 등의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통해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가 사람들에 의해 공유됩니다. 기업은 따라서 위기 발생 후 24시간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전통적으로는 우리나라의 대표 4대 언론 매체에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했지만 지금와서는 그것만큼이나 소셜미디어에서 오고가는 뉴스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확산속도가 엄청나기 때문이죠. 따라서 평소에 꾸준히 기업이 위기 상황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소셜미디어 채널을 구축해놔야 합니다. 또 그것들을 운영할 수 있는 충분한 인력을 준비해 놓아야 하죠. 위기가 확산되는 것은 순식간입니다. 기업은 그 점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2. 투명성

   소셜미디어에서 완벽한 비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특히 위기시에는 기업 내부 정보가 유출되는 경우가 다반사죠. 특히 소셜미디어 사용자들 중에는 자신의 영향력을 사용해서 이슈메이킹을 할 수 있는 개인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 일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미리 구축해 놓은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서 투명하게 공개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 불필요한 오해도 미리 막을 수 있습니다. 안그래도 위기 후 부정정적인 뉴스가 홍수처럼 소셜미디어 상에서 공유되는데 거기에 오해를 더할 필요는 없겠죠? 위기대응의 투명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3. 대화

   항상 강조한 점이지만 소셜미디어는 커뮤니케이션의 장입니다. 바로 수많은 대화들이 자유롭게 오고가는 곳이죠. 따라서 일방적인 대화는 아무런 효과를 지니지 못합니다. 따라서 위기 대응 시에도 일방적인 통보는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또 위기 전부터 기업은 미리 위기가 발생할 때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뉴스들을 생산해줄 수 있는 사람들을 구추해놓아야합니다. 바로 이 사람들이 기업을 위기로부터 구해줄 구원투수들이기 때문이죠. 기업이 하는 말은 잘 안 믿어도 이런 사람들이 하는 말들은 사람들이 더 잘 믿으니까요. 따라서 전략적으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에 소셜미디어 대화 채널을 충분히 마련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사전에 소셜미디어 상에서 오고가는 부정적 뉴스들에 대해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나머지 2개가 궁금하시죠? 저도 이제 영문학 공부를 해야 해서요... 아쉽지만 나머지 2개는 내일까지 비밀로 할께요:) 완벽한 비밀은 없으니까... 안심하세요!! 좋은 밤 되세요.

 

The T-Mobile Dance: Life for Sharing

This made me speechless. Amazing! Terrific! Awesome!

Korea: A Leading Nation in Social Media

안녕하세요. 시험을 딱 3일 앞두고 이렇게 블로그를 하는 마음이 편하지만은 않지만 제 블로그를 방문해주시는 분들께서 새로운 정보를 얻어가셨으면 하는 마음에서 짧은 포스팅을 올립니다. 오늘은 비가 주룩주룩 내려서 개인적으로는 기분이 좀 우울한데요... 여러분들은 활짝 웃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이번에 한국이 월드컵 16강에 진출해서 강호 우루과이와 멋진 경기를 펼친 것이 매우 자랑스러운데요^^ 한국이 소셜미디어 분야에 있어서 뒤지지 않고 선두로 나아가고 있다는 기사를 접하게 되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며칠전에 보니까 BRICs 국가들이 소셜미디어 마케팅의 강호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요. 우리나라도 뒤지지 않는 다고 하니 기분이 좋네요.
 
   FORRESTER 리서치 기관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미국, 일본, 중국 등 15개의 국가를 상대로 한 통계조사에서 한국이 상위권을 차지했는데요. 활동량뿐만 아니라 생산하는 콘텐츠의 질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리서치 결과 한국, 중국, 일본 아시아 세 국가가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그 뒤를 미국과 유럽국가들이 따라오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이 일단 소셜미디어를 하기 위한 인터넷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어서 그런 것 같은데요. 또 인사이트와 크리에이티브하면 한국인의 재치를 따라가기가 힘들죠? 정보통신 강국으로서 이런 모습을 보여줘서 기분이 좋네요!!

Evian Roller Babies

Commercials that feature babies always rock!! This vidoe has a viewership of over 25,000,000!!